div class="title-logo">

2025/04 17

~そう (そうだ / そうです): 추측·상태 표현 [일본어 문법 완벽정리]

1. ~そう의 기본 개념 ~そう는 일본어에서 어떤 것을 보고 듣고 느낀 바에 따라“그럴 것 같다”, “~해 보인다”, “~일 듯하다”와 같이추측, 인상, 상태를 표현하는 문법입니다. 두 가지로 나뉘어 사용됩니다: 상태 추측 (~해 보인다)정보 추측 (~라고 한다) → そうだ (전혀 다른 문법, 여기선 제외)  2. ~そう의 의미 용법설명예문상태 추측눈에 보이는 상태를 바탕으로 “~해 보인다”雨が降りそうです。 (비가 올 것 같아요)감각적 인상음식, 표정, 분위기 등 외형적인 느낌このケーキ、美味しそう! (이 케이크, 맛있어 보여!)변할 가능성어떤 상태가 될 듯한 느낌倒れそうです。 (쓰러질 것 같아요)   3. 형태별 ~そう 표현  동사 + そうだ 동사 ます형 + そうだ 동사ます형~そう형의미降る降り降りそうだ비..

일본어 문법 2025.04.17

のです / んです: 설명·강조 표현 [일본어 문법 완벽정리]

1. のです / んです란? のです 또는 구어체인 んです는어떤 상황에 대해 설명하거나, 이유를 밝히거나, 강조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문장의 끝에 붙여서 “왜 그런가요?”“이런 이유예요”“그게 말이죠…”처럼 감정과 의도를 담아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말할 수 있게 해주는 문법입니다.  2. 기본 의미와 쓰임 용도설명예문설명이유나 상황을 설명할 때道が混んでいたんです。 (길이 막혀 있었던 거예요)이유 묻기“왜 ~해요?” 부드럽게 물을 때どうして来なかったんですか? (왜 안 왔어요?)강조화자의 감정을 강조本当に欲しかったんです。 (정말 가지고 싶었던 거예요)변명, 해명자연스럽게 사유를 밝힐 때忙しかったんです。 (바빴던 거예요)   3. のです / んです의 형태  명사・な형용사 + な + のです 구성예문의미명..

일본어 문법 2025.04.16

동사 사역수동형 (~させられる): ~하게 당하다, ~시키게 되다 [일본어 문법 완벽정리]

1. 사역수동형이란? (使役受け身形とは?) 사역수동형(使役受け身形)은 “억지로 어떤 일을 하게 됐다”,즉 하기 싫은 행동을 억지로 시킴을 당했다는 뜻을 나타냅니다. 한국어의 “시키게 하다”, “강제로 ~하게 되다”, “~당하다”에 해당합니다.  2. 사역수동형의 의미 상황설명예문강제억지로 어떤 일을 하게 됨母に野菜を食べさせられた。 (엄마에게 야채를 억지로 먹었다)불만하기 싫은 행동을 하게 되었을 때 불만 표시先生に掃除をさせられた。 (선생님에게 청소를 시키게 되었다 → 억지로)직장·학교윗사람에게 명령·지시를 받았을 때 자주 사용部長に残業させられた。 (부장에게 야근을 시켰다 → 야근 당했다)   3. 동사 사역수동형 변형 규칙  1그룹 동사 (五段動詞) 사전형사역형사역수동형의미書く書かせる書かせられる쓰게 당하..

일본어 문법 2025.04.15

동사 수동형 (~られる / ~れる): “~당하다, ~받다” [일본어 문법 완벽정리]

1. 수동형이란? (受け身形とは?) 수동형(受け身形, うけみけい)은 어떤 행위의 영향을 받는 입장에서 말할 때 사용하는 문법입니다.즉, 한국어의 “먹혔다, 읽혔다, 맞았다, 칭찬받았다”처럼 “~당하다”, “~받다”의 의미를 표현합니다.  2. 수동형의 의미 유형의미예문행위의 수동누군가에게 어떤 행동을 당함先生にほめられた。 (선생님에게 칭찬받았다)피해 수동원하지 않은 행위로 피해를 입음雨に降られた。 (비를 맞았다, 비에 당했다)간접 수동제3자의 행위에 영향 받음母にケーキを作られた。 (엄마가 케이크를 만들어 버렸다 → 내가 손댈 수 없었음)   3. 동사 수동형 변형 규칙  1그룹 동사 (五段動詞) 語幹의 끝을 あ단 + れる로 변형 사전형수동형의미書く書かれる쓰이다話す話される말해지다飲む飲まれる마셔지다待つ待たれ..

일본어 문법 2025.04.14

동사 사역형 (~せる / ~させる): ~하게 하다, ~시키다 [일본어 문법 완벽정리]

1. 사역형이란? (使役形とは?) 사역형(使役形, しえきけい)은누군가에게 어떤 행동을 하게 하다, 즉 시키는 표현을 나타냅니다. 한국어의 “시키다, ~하게 하다“에 해당하며,예를 들어 “먹게 하다, 공부하게 하다, 기다리게 하다” 등으로 해석됩니다.  2. 사역형 기본 개념 의미예문허용: 스스로 하게 둠子どもを遊ばせる (아이를 놀게 하다)강제: 억지로 시킴部下にレポートを書かせる (부하에게 보고서를 쓰게 하다)※ 허용/강제 둘 다 문맥에 따라 달라짐  3. 동사 그룹별 사역형 변형 규칙  1그룹 동사 (五段動詞) 語幹(어간)을 あ단으로 바꾸고 せる를 붙인다. 사전형사역형의미書く書かせる쓰게 하다話す話させる말하게 하다飲む飲ませる마시게 하다行く行かせる가게 하다待つ待たせる기다리게 하다※ 行く도 예외 없이 行かせる..

일본어 문법 2025.04.13

가정 표현 なら형 (~なら): “~라면, ~면” [일본어 문법 완벽정리]

1. なら형이란? (~なら形とは?) なら형(~なら)은 일본어에서 어떤 조건이나 전제를 두고그에 따른 판단, 조언, 의향, 추측 등을 나타내는 가정 표현입니다.한국어로는 “~라면”, “~면”, “~이라면” 등으로 해석됩니다.  2. なら형의 특징 상대방 말, 상황, 정보를 받아서 조건을 덧붙일 때 사용이야기 중의 주제를 이어받아 말하는 느낌다른 가정 표현(たら, ば, と)보다 주관적인 느낌이 강함명사, 형용사, 동사에 모두 사용 가능  3. 품사별 なら형 만들기  명사 + なら 명사 그대로 쓰고 뒤에 “なら”를 붙이면 된다. 명사なら형의미学生学生なら학생이라면日本人日本人なら일본인이라면雨雨なら비라면 な형용사 + なら 형용사なら형의미静か静かなら조용하다면便利便利なら편리하다면有名有名なら유명하다면 い형용사 + なら ..

일본어 문법 2025.04.12

가정 표현 と형 (~と): “~하면, ~하면 항상” [일본어 문법 완벽정리]

1. と형이란? (~と形とは?) と형(~と)은 일본어에서 조건, 원인과 결과, 자연스러운 흐름을 표현하는 데 쓰이는 가정 표현입니다.한국어의 “~하면”, “~하자”, “~하면 항상 ~한다”에 해당합니다. 이 표현은 규칙적인 결과, 자동 반응, 일반적인 사실을 말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2. と형의 기본 구조 동사・형용사・명사 기본형 + と + 결과 문장 예문의미春になると、花が咲きます。봄이 되면 꽃이 핍니다.ボタンを押すと、音が鳴ります。버튼을 누르면 소리가 납니다.   3. と형의 특징  ① 항상 같은 결과 / 자연적인 결과 자주 일어나는 일, 자연현상, 일반 사실 표현앞 문장이 조건이고, 뒤 문장이 항상 일어나는 결과 예시 朝になると、鳥が鳴く。(아침이 되면 새가 운다)砂糖を入れると、甘くなる。(설탕을 넣으..

일본어 문법 2025.04.11

가정 표현 たら형 (~たら): “~하면, ~했을 때” [일본어 문법 완벽정리]

1. たら형이란? (~たら形とは?) たら형(~たら)은 일본어에서 조건이나 가정, 순서(시점)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문법입니다.한국어의 “~하면”, “~했을 때”, “~한다면”, “~했더니“와 같은 의미로 다양하게 해석됩니다.  2. 기본 구조 동사·형용사·명사의 과거형(~た형) + ら = ~たら 품사변형 규칙예시동사동사 た형 + ら行ったら (갔으면, 갔을 때)い형용사い형용사 かった형 + ら高かったら (비쌌으면)な형용사な형용사 + だったら静かだったら (조용했으면)명사명사 + だったら学生だったら (학생이었다면) 3. 의미와 쓰임 용법설명예문조건~하면, ~라면暇だったら、遊びましょう。 (한가하면 놀자)순서~한 후에, ~했을 때家に帰ったら、電話してください。 (집에 돌아가면 전화 주세요)가정~했다면 (현실과 반대되..

일본어 문법 2025.04.10

가정 표현 ば형 (~えば): “~하면” [일본어 문법 완벽정리]

1. ば형이란? (~ば形とは?) ば형은 일본어에서 가정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사용되는 문법입니다.한국어의 “~하면”, “~라면“에 해당하며, 어떤 행동이나 상태를 전제로 결과나 조건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2. 기본 의미와 쓰임 ば형은 다음과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용법의미예문조건~하면, ~라면雨が降れば、出かけません。 (비가 오면 외출하지 않아요)충고·조언~하는 게 좋아早く寝ればいいよ。 (일찍 자면 좋을 거야)가능성~할 수 있다면時間があれば、行きます。 (시간이 있으면 갈게요) 3. 동사의 ば형 변형 규칙  1그룹 동사 (五段動詞) 어간의 마지막 음을 え단으로 바꾸고 ば를 붙인다. 사전형ば형의미書く書けば쓰면話す話せば말하면飲む飲めば마시면待つ待てば기다리면行く行けば가면※ 예외 없음 (行く → 行けば)  2그..

일본어 문법 2025.04.09

元気와 健康의 차이 [헷갈리는 일본어 한방에 정리]

일본어에서 元気(げんき)와 健康(けんこう)는 모두 “건강”과 관련된 의미를 가지지만,사용되는 문맥과 뉘앙스에 차이가 있습니다.특히, 元気는 에너지와 활력을 의미하고, 健康은 신체적으로 병이 없는 건강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아래에서 元気와 健康의 차이를 명확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元気(げんき): 활력 있고 건강한 상태 元気는 에너지와 활력이 넘치고, 기운이 좋은 상태를 의미합니다.즉, 신체적인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활력과 기분도 포함됩니다. • 밝고 활기찬 상태를 표현할 때 사용 • “기운이 있다”, “생기가 넘친다”라는 의미로 사용 • 인사 표현에서도 자주 사용됨 예문 • お元気ですか? → 건강하세요? (안부 인사) • 彼は いつも 元気だ。 → 그는 항상 활기차다. • 最近 元気が ない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