헷갈리는 일본어 정리

見る와 見える의 차이 [헷갈리는 일본어 한방에 정리]

니혼고센세 2025. 3. 11. 12:27

일본어에서 見る(みる)見える(みえる)는 모두 “보다”라는 의미를 가지지만, 사용 방식과 뉘앙스가 다릅니다.

단순히 “보다”로 해석할 수 있지만, 의도적 행동인지, 자연스럽게 보이는지에 따라 올바른 단어를 선택해야 합니다.

 

아래에서 見る見える의 차이를 명확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見る: 의도적으로 보는 행위

 

見る의식적으로 시선을 돌려 무언가를 보는 행위를 나타냅니다.

즉, 스스로의 의지로 보려고 해서 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 주요 특징

의도적으로 보는 행위(능동적 행동)

눈을 돌려서 적극적으로 주시하는 느낌

TV, 영화, 사진, 경기, 책 등을 볼 때 사용

 

📝 예문

テレビを 見る。 → TV를 보다.

映画を 見る。 → 영화를 보다.

本を 見る。 → 책을 보다.

地図を 見て、場所を 確認する。 → 지도를 보고 장소를 확인하다.

 

📌 ポイント (포인트)

능동적으로 보려는 의지가 있는 경우 사용

의미적으로 “관찰하다”에 가까운 느낌

 

2. 見える: 자연스럽게 보이는 상태

 

見える자연스럽게 시야에 들어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보려는 의도가 없어도 그냥 보이는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 주요 특징

의도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보이는 것

시야에 들어와서 인식되는 느낌

시각적 능력(볼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할 때도 사용됨

 

📝 예문

山が 見える。 → 산이 보인다. (산이 저절로 시야에 들어옴)

窓から 海が 見える。 → 창문에서 바다가 보인다. (의식적으로 보려고 한 것이 아님)

メガネが ないと 文字が 見えない。 → 안경이 없으면 글씨가 보이지 않는다. (볼 수 있는 능력)

暗くて 何も 見えない。 → 어두워서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 ポイント (포인트)

“자연스럽게 보이는 상태”를 나타냄

“볼 수 있다”라는 능력을 표현할 때도 사용됨

 

3. 見る와 見える의 비교: 의미 차이

 

같은 “보다”라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의도와 상황에 따라 적절한 단어를 선택해야 합니다.

 

📝 예문 비교

テレビを 見る。 → TV를 보다. (능동적으로 시청하는 행위)

テレビが 見える。 → TV가 보인다. (자연스럽게 시야에 들어오는 상태)

月を 見る。 → 달을 보다. (달을 관찰하는 느낌)

月が 見える。 → 달이 보인다. (달이 자연스럽게 눈에 들어옴)

遠くの山を 見る。 → 멀리 있는 산을 보다. (의도적으로 바라봄)

遠くの山が 見える。 → 멀리 있는 산이 보인다. (자연스럽게 시야에 들어옴)

 

이처럼 見る는 능동적인 행위, 見える는 자연스럽게 보이는 상태를 나타낸다는 점이 차이점입니다.

 

4. 見る와 見える의 활용 정리

구분 見る 見える
의미 의도적으로 보다 자연스럽게 보이다
사용 환경 TV, 영화, 책 등을 보는 행위 풍경, 사물 등이 시야에 들어오는 상태
예문 映画を 見る。 (영화를 보다.) 映画が 見える。 (영화가 보인다.)
특징 능동적인 행동 자연스럽게 보이는 상태

 

5. 마무리 (まとめ)

 

✔️ 핵심 정리

1. 見る“의도적으로 보다”를 의미하며, TV, 영화, 책, 지도 등을 볼 때 사용됨.

映画を 見る。 (영화를 보다.)

地図を 見る。 (지도를 보다.)

2. 見える“자연스럽게 보이다”를 의미하며, 풍경이나 사물이 시야에 들어오는 상태를 나타냄.

山が 見える。 (산이 보인다.)

メガネが ないと 文字が 見えない。 (안경이 없으면 글씨가 보이지 않는다.)

3. 같은 “보다”라도 見る는 능동적인 행위, 見える는 자연스럽게 보이는 상태를 표현함.

月を 見る。 (달을 보다.)

月が 見える。 (달이 보인다.)